2015년 7월 4일 토요일

Couple App/Couple Messenger/Couple SNS - Between

커플 SNS/커플사진/커플메신져/국민커플 앱 -  비트윈 
Couple App/Couple Messenger/Couple SNS - Between

1. Introduction

 Between, VCNC’s couple exclusive SNS application, has become the official national couple app since its launch in 2011, with over 10 million downloads. In the early stage of its launching, Between obtained 100 thousand USD from Softbank Ventures, and 300 thousand USD in January 2013 from Softbank Ventures, Stonebridge Capital and KTB Network. Further to this, in February 2014, Between secured ‘strategic investment’ from DeNa, a leading IT company in Japan, which will serve as a firm foundation for global expansion. 60% of Between users are based in Korea, while the remaining 40% are users from Japan and other South East Asian countries and the global user base is increasing steadily. From providing couples with private space for chatting, posting pictures and updating their calendar, Between hopes to expand into a platform business through its addition of mobile shopping and gift shop function. 


Between  

2. Features 

a. Moments - Sharing pictures and memories between couples

 The main reason Between was able to position itself was by providing a private space for couples to post and share pictures on. Between was successful in satisfying couples’ largest needs which was a private space online for couples. There are many SNS services such as Facebook, Kakao Story and Instagram where people can share pictures with a wide range of friends, but there was no space for couples to share their pictures. This was not only a space for couples to share their intimate pictures but also a method of creating space where the couple be connected on-line. The best picture taken of the day can be set as the cover picture and a memo function which allows couples to write short notes to each other pulled couples more intimately together. The main screen shows how many days have passed since the couple started dating, helping forgetful men remember important anniversaries.




b. Between messenger provides couple exclusive chatting, cute emoticons and a PC version

 Between, not only used as private space but also used as a couple exclusive messenger! Unlike Kakao Talk or Line, the chatting function of Between enables couples to focus on one another without the interference of other people. As of April 2015, the accumulated number of messages sent through Between amount to over 26 billion messages and there are approximately 50+ stickers, showing how much investment is being made into Between messaging. In late 2014, a PC version was launched, which aimed to match the quality of the Kakao Talk PC version. As all other messengers, the basic business model was to create cute emoticons to raise revenues.



 c. Various events targeting various anniversaries and special days for couples

 After Between gathered a large user base of couples, their next concern was how to create a profitable structure while assisting couples to date. Starting with coffee or ice cream mobile gifticons, Between expanded its business model by partnerships with travel agencies, hotels and rent-a-car companies with extensive marketing. What is unique about Between is its present recommendation service which recommends birthday presents or jewelry or perfumes for couples while reminding them of the other person’s birthday one week in advance. However, as this has only newly been launched and there are a limited number of products and little revenue generated for now, it is difficult to say that how successful this service is for now. Providing events that can be enjoyed on a more frequent basis and finding synergetic partners to help design popular events will be critical in the future.

이미지  

  3. Business Opportunity

a. Business Model - Between has 4 business models; emoticon stickers used for chatting, a mobile coupon shop for lower priced convenience store focused products, a gift shop for couple bracelets, watches or shoes and marketing for special days or anniversaries. The emoticons of Kakao talk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widely use them after purchasing to a wide range of people, however since Between is only for couples, the portion of such sales is expected to be much less than that of other messengers. In the case of mobile coupons, Between differentiates itself from other services by enabling users to send them with cute emoticons. However, there are no distinct advantages or benefits for using Between’s mobile coupons and gift coupons, how they will overcome this will be interesting to see.

b. Global Platform Business - Line was successful in expanding into South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the Philippines or Taiwan by launching stickers tailor-made for each territory and carrying out aggressive marketing campaigns. After procuring a user base based on the couple catting or picture sharing functions, it will be crucial to build commercial services by country. Personally, I believe that since South East Asian countries like Korean cosmetics and jewelry, enabling purchase of these products from abroad may be a good strategy.




4. Conclusion 

Currently, Between has procured a large user base, however it can be said that its business model has not been firmly established. By branding itself as a closed SNS service for couples and procuring a large user base, Between must naturally guide users to use their mobile commerce services. After validating services in Korea, Between must adapt it to the various countries for success in the local markets. How effective Between is at localizing the business model, how successful it is in creating contents, products, events and services will determine how successful it will be in becoming a global couple app.

[국민커플 앱/커플 메신저/커플SNS] - 비트윈 Between

2015년 7월 2일 목요일

Movie Recommendation/Movie Ratings/Movie Taste Analysis/Reserve Tickets - Watcha

Movie Taste Analysis App - Watcha

1. Introduction

 Watcha is a movie rating app, developed by a start-up company, Programs, for analyzing the movie tastes of people. More than half of the staff at Programs are programmers and Watcha is a well-established start-up service that has already retained funding amounting to 3.5 million USD. “Big data” and “Curation” are two words that can be used to describe Watcha, however Watcha is tuned towards recording the personal tastes of individuals rather than compiling mass opinion. 


2. Feautres

a. Expected Ratings and Movie recommendations


 Everybody has their own taste in movies. Some enjoy thrillers with a twist, action movies or superhero movies, while others like melodrama, romance or family oriented movies. Based on your past ratings, Watcha differentiates itself from other apps by recommending movies that suit your taste and by letting you know the expected ratings and thereby attracting viewers’ attention.




b.  
Latest Movie Information, Reserving Tickets 


 Reviews and ratings from sites such as Naver Movies or movie distribution companies have lost their reliability as part-timers are put on their payroll to rate their movies higher. Watcha is being effectively used as a promotion channel as it provides reservation rates and ratings of movies. Recently, Watcha began expanding its service areas so that viewers may watch movies real time that they want to watch by partnering with movie theaters, IPTV, Hoppin and other services.




c. 
Follow – Social Function for Enjoying Movies Together


 Watcha has a social function so that one can follow friends or movie manias. By following people with a similar taste in movies, you can check out reviews or ratings that the person you are following for more reliable ratings and reviews. It doesn’t stop there; a new function of managing movie partners enables you to control your movie friends. 


3. Business Opportunity

a. Business Model 

  Within Watcha, users are naturally attracted to TV/VOD, mobile movie and movie theater links. As users are naturally induced into such sites, Watcha can be used as an effective click/touch based marketing channel. Watcha also has great potential for becoming an efficient marketing channel of movie distribution companies by specifically targeting wanted customer segments based on the movie tastes of viewers, using the data of ratings. In addition, based on the large user base procured, Watcha may also rent out their ratings to other websites.


b. Risk/Opportunity 

 Maintaining the design of the recommendation algorithm, so that users can continuously rely on Watcha will be a critical factor in operating Watcha. If expected ratings were high, but actual satisfaction was low, Watcha’s algorithm is not doing its job properly. Although, Watcha cannot satisfy every user’s taste, losing the trust of users will be a long run risk the programmers must overcome. Recruiting movie critics and related experts may be one useful option to enhancing its credibility and eating up the market share of movie magazines and advertisements.

4. Conclusion

  Watcha is an unrivaled app in the movie sector backed by its smart programmers that have created a big data algorithm that is unparalleled by those of its kind. Great expectations for Watcha, on how it will efficiently deliver movie advertisements and increase MAU procurement through its elaborate recommendation algorithm. 

[영화추천/영화평점/영화취향분석/영화예매] 왓챠 Watcha - Click for the Watcha posting in Korean 


2015년 4월 18일 토요일

[부동산 중개/오피스텔,원룸구하기/방구하는 앱] - 직방

부동산 중개/오피스텔,원룸구하기/방구하는 앱/ - 직방

1. Introduction

- 직방은 채널브리즈가 2012년 초에 선보인 국내 최초 부동산 앱입니다. 부동산 시장을 선점한 만큼 2015년 4월까지 누적 다운로드 600만건을 돌파 했으며 공인중개사무소 5000개 이상, 방 매물만 70만여 개에 이르며 현재 등록 매물 수 1위, 이용자 수 1위, 검색 수 1위로 대한민국 1등 부동산 앱으로 자리매김 했습니다. 누적 투자금액 또한 6개의 벤쳐캐피털 회사로부터 60억이 넘어 섰으며, 이를 기반으로 인력확보, 안정적인 운영 및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시장점유율을 계속해서 끌어 올리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개그우먼 김지민에 이어 주원을 직방 모델로 캐스팅하여 많은 관심을 받기도 했습니다. 

Zigbang


2. Feautres 

a. 확실한 타겟팅 - 원룸/투룸 > 1인 가구의 젊은 2,30대 고객층

  직방의 서비스 기획할 때 가장 결정적인 성공요인이라고할 수 있는 것은 자신들이 서비스를 잘 할 수 있는 분야를 명확히 정의하고 고객의 특성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기획 했다는 점이다. 고객대상은 바로 젊은 학생이나 직장인이 주를 이루는 2,30대. 사실 아파트/주택 등의 부동산 매매/전세 거래는 단기의 계약이라기 보다는 자본금이 많이 필요한 금융투자 쪽에 속하며, 주요 고객은 4,50대라고 간주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직방이 주목한 고객은 대학교나 주요 직장이 위치한 지하철역 근처에 1~2년 정도로 단기간으로 살 수 있는 방을 찾는 젊은 세대이며, 웹과 모바일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하며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한 사용자들이 손 안에서 주요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구현 하였다. 자산 개념의 '부동산'이 아닌 '방'을 이용하여 서비스의 네이밍을 했다는 것도 고객의 머리 속에 원룸/투룸을 찾을 수 있다는 인식을 확실하게 전달해 주었습니다.     







b.  편리한 방 검색 - 지도(단지, 지하철 역 주변) 및 가격을 이용한 필터링

자신이 보고 싶어하는 매물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은 직방에 대한 사용자의효용을 증가시켰습니다. 개인적으로 압권이라고 생각하는 점은 '역 주변 방 모아보기' 등 지도에 빌딩마다의 가능한 매물 개수를 표시해주는 것인데요. 숫자를 터치하면 빌딩/오피스텔 안의 가능한 방 목록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지도로부터 방의 보증금 및 월세 사진을 보는 단계까지의 이동이 직관적이며 다음 맵을 활용하여 로드뷰까지 제공하여 자신이 구하고자 하는 방의 주변시설, 편의점/마트/정거장 등의 확인도 용이하게 합니다. 사진을 모든 방(매물)을 등록 시 의무적으로 올리게 하여 고객들이 원하는 실제 정보 - 필요한 정보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전달 하고 있습니다. 



 c. 철저한 매물 관리 - 끊임없는 영업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노력 
 서비스 초기에는 직방의 영업인력을 이용해서 매물을 일일이 확인하며 사진을 찍는 활동까지 했다고 할 정도로 올라온 매물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직방 서비스의 핵심은 허위 매물과의 싸움이라고 표현했을 정도로 허위 매물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반짝반짝 클린캠페인' -'클린피드백'과 '헛걸음 보상제'라는 제도를 만들어 허탕을 친 고객들이 허위매물을 신고하여 관리자가 최신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다. 헛걸음을 하여 시간을 낭비하게 한 사용자들에게 보상품으로 3만원이나 지급하는 정책은 얼마나 서비스의 신뢰도에 집중하고 있는지 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사실 잘못된 정보를 올린다기 보다는, 이미 임대 계약이 완료된 방이 아직 다른 사용자들에게 노출되어 있는 환경을 최소화 하고 최신의 매물 상태를 보여 주는 것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3. Business Opportunity

a. Business Model - 직방에 등록되는 매물은 개인 임대자의 경우 한 건으로 제한하여 무료로 등록할 수 있게 하고 그 이상부터는 유료로 등록을 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부동산 중개업자의 경우에는 노출당 금액을 책정해서 자신이 등록한 매물이 동시에 얼마나 많이 사용자에게 전달이 되는지에 따라 과금을 받는 구조 입니다. 다만 부동산 중개업소가 증가할수록 경쟁사가 증가해 광교효과는 줄어든 반면, 광고비용의 부담이 증가하고 있어 좀 더 전환율을 책정하여 광고비용을 과금할 수 있는 구조가 도입되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b. Serice Expansion - 직방이 다음 단계로 준비하고 있는 서비스 모델은 매매정보나 아파트 거래가 아니라 1~2인 가구의 주거를 책임지는 방향을 기획하고 있다고 합니다. 새로운 고객으로의 확장이 아닌 기존에 타겟팅 했던 1인 가구의 고객에게 방을 구하는 것을 넘어서 방을 꾸미는 것까지 책임질 수 있는 인테리어 소품을 판매한다는 계획 입니다. 서비스 확장 뿐만 아니라 부동산 중개업소와 이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지역적 확장과 더불어 검색 효율성 제고, 노출 알고리즘 정교화, 광고과금 구조 다변화 등의 영역 역시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4. Conclusion 

 현재까지의 부동산은 신뢰성이 결여된 정보의 온상이었으며 많은 사람들을 헛걸음 치게 만들어 시간을 낭비하게 만든 것이 사실 입니다. 젊은 학생과 직장인들이 방을 구할 때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쉽게 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부동산에게는 원하는 고객이 즐비하고 있는 마케팅 채널로 본연의 중개 업무에 집중하게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Win-Win 구조를 계속해서 유지해야 합니다. 예상되는 리스크는 직방이 독점으로 시장을 지배하게 될 경우 부동산 중개업자들이 내는 마케팅 수수료가 합리적이지 않을 때의 불균형 입니다.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주변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배달앱과 상당히 닮아 있는 부동산 앱 시장의 성숙이 기대 됩니다.

[부동산 앱/원룸투룸/방구하는 앱] - 직방


2015년 4월 13일 월요일

[국민커플 앱/커플 메신져/커플SNS] - 비트윈 Between

커플 SNS/커플사진/커플메신져/국민커플 앱 -  비트윈 Between

1. Introduction

- 비트윈(Between)은 2011년 서비스 런칭 후 국민커플 앱이라는 칭호를 얻으며 최근 3년간 누적 다운로드수 1000만건을 돌파한 VCNC의 커플만을 위한 폐쇄형 SNS 어플리케이션입니다. 서비스 초기에 소프트뱅크벤처스로부터 10억, 2013년 1월 소프트뱅크벤처스, 스톤브릿지캐피털, KTB네트워크 로부터  총 30억 투자 유치와 2014년 2월 일본 거대 IT 기업 DeNa(디엔에이)로부터 '전략적 투자'를 성공 유치하며 글로벌 서비스 확장에 엔진을 장착했습니다. 국내 사용자의 비중이 60%, 해외 사용자 비중이 40%에 달할 정도로 한국에서 뿐만 아니라 일본이나 동남아시아권에서 지속적으로 유저를 확보해 나가고 있습니다. 커플들만의 비밀스러운 공간을 통해 채팅은 물론, 사진이나 일정을 넘어서 모바일 쇼핑이나 기프티샵 등의 도입으로 플랫폼 비지니스를 꿈꾸고 있습니다. 


Between  

2. Features 

a. 추억상자/Moments - 커플들 끼리의 사진 및 추억 공유

 국민 커플앱으로 포지셔닝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요인은 커플들 만의 사진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주었다는 것입니다. 비트윈이 가장 잘 충족시킨 커플들의 공통적 니즈는 온라인/모바일 상의 커플들 만의 공간에 대한 욕구입니다. Facebook이나 카카오스토리, Instagram 등 다른 지인들과 사진을 공유할 수 있는 SNS 서비스는 많지만 커플들끼리만 공유할 수 공간은 없었습니다. 남들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은 커플들 만의 닭살 넘치는 사진 뿐만 아니라, 같이 함께한 시간이 살아 숨쉬는 공간을 제공해 줌으로써 커플들의 욕망을 잘 타겟팅 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잘나온 사진은 하루하루의 대표 사진으로 설정할 수 있고, 편지나 짧은 글을 남길 수 있는 메모 기능은 더욱 더 커플들을 끈적하게 만들어 주었습니다. 사귄 일 수를 메인화면에서 보여주는 것도 무심한 남자들에게 디테일을 신경쓰는 남친이 되도록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b. 커플들 만의 채팅, 귀여운 이모티콘, PC 버전까지 제공하는 비트윈 메신저

 커플들 사이의 사적인 공간 뿐만 아니라 커플만 쓰는 메신저로서 사용되는 비트윈!
 카카오톡이나 라인과는 달리 다른 사람들에게 방해 받지 않고 서로에게만 집중할 수 있게 해주는 채팅 기능은 비트윈의 또 다른 성공요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15년 4월 기준 현재까지 비트윈의 누적 메시지는 260억건을 넘어섰으며, 스티커 이모티콘의 개수도 50여개에 이를 정도로 채팅 기능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2014년 말에는 PC 버전도 선보이며 카카오톡 PC버전과 비슷한 수준의 서비스 수준을 제공하고자 노력하는 것이 돋보입니다. 모든 메신져의 가장 기본적인 비지니스 모델인 귀엽고 앙증 맞은 이모티콘을 통한 수익모델도 충실히 구현하고자 했습니다.  


 c. 각종 기념일/커플들을 위한 특정 일을 타겟팅한 다양한 이벤트

 비트윈이 커플들을 앱 안으로 끌어 들인 이후에 고민한 것은 어떻게 하면 커플들의 데이트에 도움울 줄 수 있으면서 수익구조를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한 것이였습니다. 커플들이 서로 커피나 아이스크림을 교환할 수 있는 모바일 기프티콘 샵을 시작으로 좀 더 Willingness to pay가 강해지는 기념일을 타겟해 여행사나 호텔, 렌트카 업체 등과 제휴 마케팅을 진행하면서 수익구조를 다지기 위한 이벤트를 시작 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여자친구의 생일 1주일 전에 알림을 보내주면서 여자친구의 생일선물로 주얼리나 향수 등의 선물을 추천하는 서비스도 추가되었습니다. 하지만 아직 런칭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상품 수도 부족하고 매출발생여부도 측정할 수 없어 앱을 리뷰하는 입장에서 이벤트가 얼마나 성공적이었는지를 판단 하기는 어려웠습니다. 커플들의 데이트나 일상에 얼마나 잘 녹아들 수 있는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는 파트너사를 발굴하고 이벤트를 정교하게 기획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생각 합니다. 

이미지  

  3. Business Opportunity

a. Business Model - 채팅에서 시작한 이모티콘 스티커, 단가가 낮은 편의점 상품 위주의 모바일 쿠폰샵, 시계나 신발, 커플팔찌를 판매하고 있는 기프트 샵, 기념일에 맞춘 다양한 제휴 마케팅, 총 4개의 수익모델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실 카카오톡의 스티커의 경우 한 번 구매하면 모든 지인들에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비트윈의 경우 커플들 사이에서만 사용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다른 메인 메신저의 이모티콘을 구매하는 유저의 비중 보다는 작을 것으로 예상 됩니다. 모바일 쿠폰의 경우 전형적인 Mobile commerce의 초기 단계로 한가지 차별점은 비트윈콘을 통해 메시지를 좀 더 아기자기하고 귀엽게 보낼 수 있다는 점 입니다. 아직 까지는 굳이 비트윈에서 모바일 쿠폰이나 기프트 쿠폰을 사용할 유인이 크지 않을 것으로 여겨지는데 어떤 식으로 극복해나갈 수 있을지 기대가 됩니다. 

b. Global Platform Business - 라인의 경우 예를 들어보면, 필리핀이나 대만 등 동남아 국가에 첫 진출 시, 각 국가별로 최적화된 귀여운 이모티콘을 앞세워 공격적 마케팅을 진행하였고, 동남아시장의 사용자를 늘리는데 성공했습니다. 커플 채팅 기능이나 사진공유 기능등을 기반으로 사용자 확보 후, 나라별 commerce 서비스를 구축해나가야할 것입니다. 개인적 아이디어로 동남아의 한국을 좋아하는 여성들에게 한국 화장품, 주얼리 등을 비트윈에서 구매 가능하게 하는 방법도 하나의 좋은 전략이라고 생각합니다.   



4. Conclusion 

현재 비트윈은 사용자 수는 많이 확보 했지만 아직 수익 구조가 자리 잡지 않은 단계로 볼 수 있습니다. 해외 진출은 커플 폐쇄형 SNS 서비스로 branding하여 사용자 확보 후, 확보된 사용자 기반으로 mobile commerce로 자연스럽게 연결시킬 수 있어야할 것입니다. 비트윈 사용자 수가 가장 많은 한국에서 여러 수익모델을 검증한 이후에, 나라별로 최적화된 수익모델을 적용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야할 것입니다. 얼마나 서비스의 현지화를 잘 시키면서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인지, 뻔한 모바일 커머스의 한계를 넘어서 커플들이 즐길 수 있는 컨텐츠, 상품, 이벤트 등을 잘 서비스에 녹여낼 수 있어야만 글로벌 커플앱으로 태어날 수 있을 것입니다.

[국민커플 앱/커플 메신저/커플SNS] - 비트윈 Between


2015년 4월 9일 목요일

[글로벌 일본 웹툰/한국 웹툰/만화 앱] - 코미코 Comico

글로벌 일본 웹툰/한국 웹툰/만화 앱 -  코미코 Comico

1. Introduction

- 코미코는 일본법인 NHN플레이아트(NHN PlayArt)의 글로벌 웹튼 서비스로 만화 시장의 자존심이라고 할 수 있는 일본과 웹툰의 본고장이라고 할 수 있는 한국의 웹툰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웹툰 서비스 이다. 2013년 10월에 일본에서 출시 후 한국에는 2015년 2월 출시하여 세계적으로 천만 다운로드를 달성 했다. 현재 코미코 한국 서비스에서는 한국 작품 50여 편과 일본 작품 30 여 편을 확인할 수 있고 무엇보다 완성도 있는 스토리 기반으로 한 작품들이 사용자들로부터 뜨거운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2. Feautres 

a. 검증된 일본과 한국의 웹툰 - 뛰어난 작품성

 웹툰 퍼블리셔라고 간주할 수 있는 코미코의 가장 중요한 성공 요인은 웹툰 포트폴리오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만화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어릴 적 누구나 일본 만화책을 보면서 자란 경험이 있을 것 같습니다. 코미코에서는 일본법인을 통해 일본 웹툰을 소싱 하면서 기존의 국내 웹툰과는 뭇 다른 정교함과 미묘한 감정이 오가는 웹툰 등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또한 일본 만화책의 특징인 우측부터 읽는 것 또한 어플 안에 구현이 되어 있습니다. (서저는 개인적으로 '리라이프'나 '그 녀석과 주종관계'를 재밌게 봤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일본 웹툰 작가를 영입하고 관리하는지 모르겠지만 국내 웹툰 뿐만 아니라 일본의 재밌는 웹툰을 빠르게 볼 수 있는 채널로 포지셔닝 한다면 글로벌 웹툰 서비스의 선두주자로 질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b. 포인트 제도, 요일별 웹툰 제한적 무료 제공으로 사용자 유도

매일 접속하면 무료로 일정 포인트를 지급하여 접속을 지속적으로 유도하고, 요일별 신작 웹툰의 경우에는 출시 후 5일까지 무료로 볼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꾸준한 재방문율을 높이는 구조는 잘 되어 있는 것 같고, 이미 연재하고 있는 웹툰 역시 맛보기 수준으로 4화까지는 포인트 사용 없이 모두 열람 가능합니다. 4화 이상부터 보고 싶으면 매일 접속하여 받은 포인트를 사용해야 되고, 포인트는 현금을 이용해서도 충전이 가능합니다. 코미코 내 포인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리를 파악하여 자극할 수 있는 구조로 디자인을 했다고 생각 합니다. 이 뿐만 아니라 두 개 이상의 웹툰을 하나의 패키지로 묶어 세트로 판매하는 등 다양한 수익 모델을 기반으로 충성도 높은 사용자로부터 과금을 받아 매출을 올리는 식의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c. 랭킹과 추천으로 사용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움

 네이버/다음 웹툰 등이 아닌 어떻게 보면 일반 이용자들에 친숙하지 않은 웹툰들을 고르는 선택을 돕기 위해 랭킹과 남성인기/여성인기 탭이 나누어져 있습니다. 추천작을 누르면 해당 요일의 웹툰과 흥미유발/감성자극 등과 같은 테마로 분류된 웹툰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남성과 여성도 분류하고 그 안에서도 하트 표시를 통해 일종의 인기 순위를 측정함으로써 처음 접근하는 이용자들이 비교적 큰 고민 없이 선택할 수 있는 구조로 디자인을 했습니다. 





  3. Business Opportunity

a. Business Model - 과거 연재된 웹툰을 보려면 포인트를 충전해야 합니다. 포인트는 매일 접속하여 얻을 수 있지만, 모든 웹툰을 커버하고 싶으신 분한테는 물론 부족한 양의 포인트가 적립이 됩니다. 포인트는 얼마나 많은 작품을  

b. Market Dyanamics - '레진코믹스'라는 강력한 경쟁자가 출연했고, 네이버나 다음 등 검색엔진포털을 가지고 있는 네이버/다음의 웹툰 이용자들을 타겟해야 된다는 점에서 쉽지 않아 보입니다. 요즘 웹툰이 영화로 만들어지는 일도 많이 있는데, 이런 성공적인 킬러 웹툰 작을 하나 들고,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시장 내 브랜드 조금 더 인지도를 제고할 수 있어야 할 것 입니다.   


4. Conclusion 

 웹툰 역시 모바일 시대에 맞춰 점점 모바일 페이지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코미코는 한국의 웹툰을 넘어 일본을 한국의 웹툰 시장으로 끌여 들어온 시장 진입까지는 성공한 것 같습니다. 아직 시장에 완전히 지배적인 선두주자가 없기 때문에 조금 더 소비자들에게 코미코를 알릴 수 있는 마케팅과 동시에 일본에서 들여오지 않은 많은 작품들을 더 포트폴리오에 추가시켜 사용자의 포인트 구매량을 증가시켜야 하겠습니다. 


[글로벌 일본 웹툰/한국 웹툰/만화 앱] -  코미코 Comico